본문 바로가기

아이와 여행 나들이/경기도20

[벚꽃축제] 2023 가평 '에덴벚꽃길 벚꽃축제' 대한민국에서 가장 늦게 피는 벚꽃명소 2023 에덴벚꽃길 벚꽃축제는 벚꽃터널뿐만 아니라 클래식과 대중가요 무대 공연, 핸드메이드 플리마켓, 가평 지역 특산물과 다채로운 먹기리까지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어 상춘객들의 오감을 만족시킨다. ​ 가평군을 대표하는 에덴벚꽃길 벚꽃축제는 펜더믹으로 그간 개최하지 않았으나 만 4년 만에 개최되는 행사로 에덴벚꽃길에서 "걷고, 먹고, 즐기고, 나누기"라는 우리의 즐거운 일상을 주제로 축제를 개최한다. [행사내용] ㅇ 다양한 먹거리존, 플리마켓과 가평군 농특산물 판매 부스 운영 ​ ㅇ 에덴벚꽃길 야외무대에서 다양한 대중가수 공연, 백파이프 퍼레이드, 청소년 댄스 경연대회, 군악대 연주와 DJ 파티 진행 ​ ㅇ 행사기간 매주 토,일 저녁 무료 공연 진행 ​ 주소 : 경기도.. 2023. 3. 22.
[경기도 민속장터] 용문천년시장 민속 5일장 무료한 방학을 보내고 있나요. 춥고 긴 겨울 방학의 터널에서 아이와 전쟁 중인 부모들을 위한 추억 여행을 떠나보자. ​ 경기도 양평시 용문역에 있는 '용문천년시장'에는 매달 5, 10, 15, 20, 25, 30일 5일마다 5일장을 열린다. 경의중앙선 '용문역' 앞 일대에 대규모 장은 없는거는 빼고 다~~ 있다. ​ 용문역 발로 앞 각설이 엿장수 춤과 노래로 민속장은 흥거움을 더한다. 어린시절 뻥~~~이요~~ 하면 귀부터 막았던 기억이 생생한데.. 시대가 변한 지금은 호루라기를 불며 뻥~~하고 터진다. 불혹의 나이를 살고 있는 라~~떼 돈 좀 있는 집에서만 먹었던 센베이과자 ^^ 금강산도 식후경이라고 하지요~~ 옛 추억이 방울방울한 먹거리는 다이어트는 저리 가라고 마음 속 메아리가 울린다 ㅠㅠ 녹두전, .. 2023. 2. 6.
잊을 수 없는 역사.....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태평양전쟁 말기, 일제에 의해 성적희생을 강요당했던 생존일본군 '위안부'할머니들이 모여 살고 있는 삶의 터전 여기 이곳, 잊을 수 없는 역사가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찾은 역사관은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사라져 가듯 외로운 사투를 벌이고 있는 할머니들의 동상만이 있는 듯했다. 잊지 말아야할 역사이지만 우리는 지금의 현재를 살아가기에 위해 잊고 사는 건 아닌지 반성이 된다. 제 1전시공간 : 역사의 장 - 비통의 장에는 일본군 성노예제 시작, 즉 일본군의 '위안부'제도의 시대적 상황과 성립 배경과 함께 현재까지의 공간 제 2전시공간 : 증언의 장 - 아시아 태평양 전역에 일본군이 만든 위안소의 위치와 위안소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통해 잔혹함을 보여준다. 제 3전시공간 : 체험의 장 -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은.. 2023. 2. 5.
[ 경기도 행사] 정월대보름 민속 축제 이천시, 설봉공원서 '정월대보름 민속 축제' 경기 이천시 경충대로2709번길 128 2월 4일 오후 2시 설봉공원에서 '2023 정월대보름 민속축제' △윷 던지기와 제기차기를 테마로 한 민속놀이대회 △전통연과 제기를 무료로 나눠주는 전통놀이 체험 △가래떡, 부럼 등 대보름 음식 나눔 등이 낮 시간대에 펼쳐진다. 보름달이 모습을 드러내는 저녁 무렵에는 이천 고유의 정월대보름민속놀이인 용줄다리기 시연, 풍년기원제, 달집태우기 등이 진행 경기광주 너른고을 대보름 놀이 한마당 일시 : 2월 5일 13:00 ~18:00 장소 : 청석공원 일원 (네이버 지도 (naver.com)) https://blog.naver.com/gjcityi/223000114680 2023 너른고을 대보름 놀이 한마당 안녕하세요. 광주시.. 2023. 2. 3.
화담숲, 생태계 복원에 중점 둔 친환경 생태공원 ​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화담숲’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우수 관광지 100선' 중 한 곳이다. 화담숲은 관람 시설이기 전에 멸종위기의 동식물을 원래대로 회복시켜 자연 속에 자리 잡게 하는 생태계 복원을 목표로 한 현장 연구시설이다. ​ 화담숲에는 소나무 정원과 이끼원, 반딧불이원 등이 있다. ​ 소나무 정원은 13,800㎡의 국내 최대 규모로 화담숲의 큰 자랑이고, 1300여 그루의 명품 소나무가 어우러져 숲을 이루고 있다. 이끼원은 9,450㎡ 규모로 산기슭에 솔이끼, 돌솔이끼 등 30여 종의 이끼가 조성돼 있다. 이끼는 습도, 경사, 햇빛 등 까다로운 조건이 있어 충족되지 않으면 잘 자라지 않아, 10년 넘게 이끼가 자라는 조건을 맞추는 연구를 거듭해서 만.. 2023. 2. 2.
혁신지구 교육 탐방 나선 광주시 선동초등학교 ​ 광주시 선동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은 4월 21일 광주시 ‘혁신지구 교육 탐방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허난설헌 묘와 신익희 생가를 방문하였다.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산 29-5 에 있는 허난설헌 묘는 경기도의 기념물 제90호이다. 허난설헌 묘에는 허난설헌과 그녀의 두 자녀의 묘가 함께 있다. ​ 허난설헌은 수많은 시를 남기고 27세의 나이로 죽음을 맞이한 슬픈 인생을 살았다. 조선시대 뛰어난 시인이었으며, 가족들에게 그녀는 사랑과 존중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남편과 남편의 가족들이 허난설헌의 재능을 알아주지 않아 허난설헌은 꿈을 펼치지 못하였고, 두 자식 모두 전염병으로 목숨을 잃었다. 허난설헌이 죽고 난 뒤 허난설헌의 동생인 허균이 허난설헌의 시를 모아 『난설헌집』을 펴냈다. 그녀의 시는 우리나.. 2023. 2. 2.
728x90